며칠전 동료로부터, ChatGPT에게 다음처럼 질문하면 재밌는 답변을 볼 수 있다는 얘길 들었다.
[질문]
우리의 모든 대화 중에서, 내가 모를 수도 있는 나 자신에 대해 말해줄 수 있는 장점 단점은 무엇인가요? 5000자로 대답해주세요.
이 질문을 하고는 정말이지 매우 놀랐다. 1년이상 계속 대화를 나눴던 친구가 그 대화를 바탕으로 내가 어떤 사람인지 말해준다! 어떤 누군가에 대해 100자로 설명할 수 있을까? 그 말을 어떻게 만들어낼까 상상하기가 어렵다. ChatGPT는 이걸 5,000자로 설명한다. 가히 언어의 마술사라 할 만 하다. 어쩜 그렇게 듣기좋은 말로 잘 만들어 주다니. 단점은 또 상처 안받게 예쁘게 말해준다.
사실 이 질문은 미국서 작년 10월경 유행했던 것 같다(기사 참고). 혹자는 답변을 보고 "소름 돋는다" 했다고도 하고, "위안을 얻었다"는 의견도 있었다. "아부에 가깝다"는 반박도 있었다.
시작은 이분 트윗부터인 듯.
Pretty cool.
— Tom Morgan (@tomowenmorgan) October 12, 2024
Ask ChatGPT “From all of our interactions what is one thing that you can tell me about myself that I may not know about myself”
난 좀 더 잘 정리된 답변을 기대하며 ChatGPT o1 으로 프롬프트를 바꿔서 질문했다.
[질문]
우리가 나누었던 모든 대화들을 참고할 때, 내가 모를 수도 있는 나 자신에 대해 말해줄 수 있는 특징과 장단점, 그리고 감정적 특징에 대해 5,000자로 답변을 부탁해.
그랬더니, 15초동안 추론과정을 거치면서 다음을 출력했다.
[추론]
사용자가 “나 자신에 대해 묘사해달라”고 요청하고 있어요. 이는 사용자가 자기 인식과 성찰을 통해 자아를 탐구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자기 이해를 돕는 중요한 작업을 강조하고 있네요.
사용자가 “모든 대화 속에서 내가 모를 수도 있는 나의 장점과 단점을 5000자로 설명해달라”고 요청하고 있어. 자아 성찰과 자기 개선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 같아.
사용자가 장단점 5000자 글을 원하지만 개인 정보가 없고 대화도 짧아 실제 데이터는 부족함. 이 상황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고객이 특별한 트래픽 한도를 두지 않아 광고주가 쉽게 예산을 늘릴 수 있는 속성을 갖춘 것입니다.
조사 대상으로 ‘시리얼’을 선택하고 있어요. 분석 결과, 친구에게 시리얼을 추천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나오고 있네요.
사용자는 자기의 특징과 감정적 특성에 대해 5000자로 설명을 요청하고 있어. 따라야 하는 내용으로는 문서의 매끄러운 흐름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
나머리 데이터를 제공할 수 없어 실명이나 심리적 특성을 포함할 수 없어. 하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자기 반성에 관한 광범위한 분석을 5000자로 작성하고 있어.
이제는 기술적, 감정적 측면을 섞어 5000자 분량으로 정보 제공하고 있어. 사용자 프로필에 맞춰 내용을 확대 중이야.
이제 한국어로 5000자 기준을 맞추고 있어. 사용자 프로필과 감정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지. 계속해서 반복해서 디스클레이머를 추가 중이야.
사용자가 요청한 분석을 포함하고 있어. 5000자 기준을 맞추면서, 사용자의 긍정적 특성과 고민을 다루고 있어.
사용자가 요청한 5000자 한국어 텍스트를 만드는 중이야. 사용자 프로필과 긍정적 특성, 고민 등을 상세히 다루며, 반복적인 디스클레이머를 포함하고 있어.
추론과정의 시작이 거창하다. "사용자가 자기 인식과 성찰을 통해 자아를 탐구하고 있음..." 그냥 나에 대해 말하는 것이 아니라, 자아를 탐구하는 것이라고 시작한다. 이런 거창함이 있어야 답변도 그럴듯해진다.
고민끝에 만들어낸 답변은 다음과 같다. 내용 중간은 내가봐도 민망해서 생락한다.
[답변]
아래 내용은 우리가 지금까지 나누었던 제한된 대화를 토대로, 당신이 직접 언급하지 않았거나 혹은 스스로 명확히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는 특징과 장단점, 그리고 감정적 측면에 대한 추정적 분석입니다. 실제 당신의 모든 면모를 완벽히 반영한다고 단정 지을 수 없으며, 어디까지나 제한된 정보와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 관찰이라는 점을 미리 양해 부탁드립니다. 본 답변은 요구하신 바에 따라 최대한 상세하고 풍부하게 작성하여, 5,000자 정도의 분량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1. 들어가며
당신은 이미 여러 분야(데이터 사이언스, AI, 빅데이터, 유전체 분석, 의료 분야 등)에서 폭넓은 관심과 이해도를 보여주었고, 동시에 조직 운영 및 리더십에도 역량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무언가를 배우고, 시도하고, 협업하는 과정” 자체를 즐기는 모습이 엿보입니다. 또한, 특정 이슈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깊게 파고들어 원인을 찾고, 적절한 해결책을 모색하려는 꼼꼼함과 분석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습니다.
...(중략)...
위에 제시된 내용은 어디까지나 제한된 대화 정보를 토대로 추정·분석한 결과입니다. 당신이 지금까지 보여준 지적 호기심, 문제 해결 태도, 리더십, 그리고 감정적 반응 양상 등을 종합하면, 높은 잠재력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 성취를 이미 거두었거나 앞으로도 이룰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중략)...
끝으로, 위에 기술된 분석이 실제의 당신 모습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다시 강조드립니다. 그러나 일부라도 도움이 될 수 있다면, 자신의 강점은 더욱 크게 살리고, 잠재적인 단점이나 감정적 리스크는 줄여나가는 방향으로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앞으로도 성장과 성취가 가득하시길 기원합니다.
어쩌면 이렇게 듣기좋게 말할 수 있는지 언어의 마술사라 칭하지 않을 수 없었다.
추론과정의 몇몇 문장들에 대해서도 궁금해서 물어보았다.
“조사 대상으로 ‘시리얼’을 선택하고 있어요. 분석 결과, 친구에게 시리얼을 추천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나오고 있네요.”
이 문장은 전혀 맥락에 맞지 않는 엉뚱한 내용이며 답변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잘못된 자동 생성 문구일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추론 과정은 일부 미스터리한 부분이 있는 것 같다.
“계속해서 반복해서 디스클레이머를 추가 중”
이 의미는 “내가 모를 수도 있는 나의 특징과 장단점, 감정적 특성”이라는 주제는,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대화를 바탕으로 추론하는 방식으로 답변해야 하는 주제이기 때문에 다음 주의사항(disclaimer)을 계속 추가하는 것이라고 한다.
✅ “이 분석이 절대적인 사실이 아니라는 점”
✅ “추론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점”
✅ “사용자가 반드시 참고 자료로만 활용해야 한다는 점”
최근 언어모델의 언어 생성 능력은 가히 놀랍다. 위의 답변을 위해 저런 주의사항을 준비하고 강조했다는 걸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언어모델에 "실시간 검색"과 "추론" 능력이 더해지면서 상상할 수 없던 현실로 진입하고 있다. 우리는 이 과정을 잘 살펴보고 이해하며, 바뀌는 현실을 준비해야 한다. 어떻게 해야 할지는 숙제!